장필구 · 이지영
Chang Pilgu · Lee Jiyoung
장필구는 조부 장기인과 부친 장순용의 뒤를 이어 건축문화유산의 보수와 보존 설계, 시공 기술을 연구하며 학생들에게 건축설계를 가르치는 건축과 교수이다. 대학원에서 20세기 전반기 창덕궁 공간을 대상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 정수초등학교 한옥교실 조성사업 코디네이터를 맡아 2021년 대한민국 한옥 공모전에서 공동 수상한 바 있다. 부친이 수집한 궁궐 도배지를 바탕으로 그는 문헌 연구를 통해 궁궐 도배지와 연계된 기록을 발굴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이지영과 함께 창덕궁 대조전·희정당 권역의 1920년경 도배지 조사를 통해 한국 근대 궁궐 전각의 변용과 도배지의 사용 방식을 밝히고 있다.
이지영은 대학에서 공간 디자인을 가르치며 장필구와 함께 궁궐 도배지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근대기 실내 공간의 절충 양식에 대해 연구 중이다. 이지영은 도배지의 조형적 특성을 통해 건축, 실내디자인, 생활 문화, 산업까지 다양한 분야와 연계된 도배지의 정체성에 대해 주목한다. 이를 통해 그는 건축과 공예, 디자인사(史)가 만나는 부분에서 궁궐 도배지의 영역을 새롭게 개척하고자 한다.
Chang Pilgu is a professor of architecture at Dongyang Mirae University who,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his grandfather and father, researches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iques for the preservation and repair of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and teaches architectural design. He received his doctorate from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focusing on the spaces of Changdeokgung Palac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He also served as the coordinator of the Hanok classroom construction project at Jeongsu Elementary School in Seoul, for which he was jointly honored at the 2021 Korea Hanok Competition. Based on the palace wallpaper collected by his father, Chang Soonyong, Chang Pilgu has been unearthing information related to palace wallpaper through literature research. Recently, through an investigation of wallpaper dating to around 1920 in the Daejojeon and Huijeongdang Halls of Changdeokgung Palace, he has been revealing the transformations of modern Korean palace pavilions and the use of wallpaper.
Lee Jiyoung teaches spatial design at a university and researches palace wallpaper alongside Chang Pilgu. She is currently studying the eclectic style of modern interior spaces with support from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Lee Jiyoung focuses on the identity of wallpaper, which is linked to various fields such as architecture, interior design, lifestyle culture, and industry, by examining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so doing, she is redefining the field of palace wallpaper as a space where architecture, crafts, and design history intersect.
공예로 짓는 집
Crafting the House
2024.9.5-2025.3.9.